[제181호] 한·중·일의 국민성과 우리의 반성 / 안태호(경제 45학번, 명예부회장)
작성자 정보
- 편집부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13 조회
본문
당파에 맹종하는 파벌주의, 감정주의, 양보 모르는 배타주의 버려야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한국과 중국, 일본은 역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제2차세계대전 때 일본이 한국과 중국을 침략하고, 6.25 전쟁 때 중국이 한국을 공격한 이후 한·중·일 삼국은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오늘날에도 경제적으로는 3국간 교역이 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치, 외교적으로는 매우 대립적인 관계에 있다. 한중 양국은 사드(THAAD) 배치문제로 불편한 관계에 있고, 한일 양국은 위안부와 독도 문제로 경색되어 있으며, 중일 양국은 센가쿠 열도 문제 등 군사적인 패권다툼이 치열하다. 특히 지난 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로 3국 관계는 더 멀어지고 있는 분위기다. 이 시기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에서는 한중일 3국 국민들의 성격을 분석하고, 우리가 반성해야 할 점들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한국인의 국민성
춘원 이광수는 소설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일제 강점기 상해 임시정부에서 발행하던 “독립신문”의 사장을 지낸 언론인이기도 하다. 상해에서 귀국한 이광수는 1922년 <민족개조론>을 기본으로 조선민족을 비판하면서 조선민족의 성격을 고쳐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1924년에는 <민족적격론>을 통해 “조선 내에 허용된 범위에서 일대 정치결사를 조직해야 한다”고 역설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그는 1920년대 조선민족의“민족성 개량”,“ 실력양성”,“ 자치주의”를 내 세우기도 하였다. 여기서 “조선 내 허용된 범위에서” “자치주의”등의 표현이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하는 것이라 하여 친일파로 평가되기도 했다. 1911년 인창호의 흥사단 조직도 다름아닌 한국인의 인재개발과 육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돌이켜보건대 1910년 한일합방 당시 한국의 인구 1,312만명 중 식자율(識者率)은 불과 6%였으며 문맹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합방 후 일제는 식민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적인 토지조사를 실시했고, 이를 통해 토지수탈과 착취를 자행했다. 1918년에는 토지 수탈과 착취가 가장 심했던 호남지역과 제주도민의 4분의 1이 일본 공업지대의 노동력 공급원으로 일본으로 건너갔는데 일본에 정착한 30만의 조선인에 대한 당시의 일본인 본 이미지는 ①불결, ②태만, ③강한 질투, ④무지, ⑤조폭 등이었다. 때문에 일본인들은 조선인을 미개발 야만인으로 냉대하고 차별하였다.
하지만 당시 조선총독부가 펴낸 <조선인의 사상과 성격>에서는 조선인의 단점을 많이 지적했지만 장점도 몇 가지 인정했다. 장점으로 관용과 느긋함, 순종, 낙천성 등을 들었고, 선량한 습관으로서는 조상숭배, 어른 존중, 노동습관이 근면함, 추위·더위에 잘 견딤, 건강한 습관, 자세가 바름 등을 들고 있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에는 한국인에 의한 한국문화와 한국인 의식구조 등 국민성 연구가 일대 붐을 이루게 되었다. 1971년 심리학자 윤태림은 그의 저서 <한국인, 그 의식 구조>에서 한국인의 국민성을 ① 과도한 감수성, ② 감정우위의 사고와 행동양식, ③ 권위주의적이며 권위에 대한 열등의식, ④ 체면을 중시하는 형식주의, ⑤ 공리적이며 형세중심의 사고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이어서 교육심리학자 김재은은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에서 한국인은 자기중심적으로 타인에 대한 객관적인 의식이 희박하고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권위주의 이기심, 무질서 의식 등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이 밖에 외국인 학자들이 보는 한국인의 국민성에 대한 비판도 모두 이와 비슷한 결론을 하고 있다.
중국인의 민족성
수 천 년의 문명을 갖는 중국은 “천고중국(千古中國)” “만종중국(萬種中國)”이라고도 한다. 중국인은 공통성과 지역성이 병존하면서 다양한 국민성을 갖고 있다. 동일한 국민성과 이질적이고 다양한 국민성을 갖는 양면성이 있다. 중국인들은 “오천년 문명고국”을 표방하고, 중국을 “세계의 중심”이며, 중국 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민족의 하나”라는 긍지를 갖는 반면 자신들의 실질적인 모습을 알려고 하는 의식은 희박하다. 그래서 1987년 중국의 대표적 인류학자인 비효통(페이샤오퉁)은 수십년간 중국을 이해하려고 노력을 해 왔지만 아직까지 중국인의 행동양식과 정신의식을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런데 1842년 아편전쟁에서 영국에 패하고 굴욕적인 조약(남경조약)을 체결한 후 중국에는 스스로 반성하고 국민성을 개조하기 위한 붐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 첫 번째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중국의 근대사상가 강유위(康有爲, 캉유웨이)와 양계초(梁啓超, 량치차오) 등이 중국인의 결점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고, 두 번째로는 1920년대 5.4 운동(중국 학생들에 의한 항일운동 겸 반제국주의 운동)에서 발생한 중국인 국민성에 대한 비판이 있었으며, 세 번째 1980년대에는 과거 모택동 시대의 문화대혁명에 대한 반성 붐에서 중국인 자신에 대한 전면적인 반성이 있었다.
1904년 양계초는 중국 국민성의 결점으로 ①독립과 자유의 덕(德) 결여, ②노예성, ③공중도덕의 결여, ④애매, 기만, 비이성(非굊性) 등을 지적했다. 같은 시기에 중국의 작가 로신도 중국인들이 ①자기기만과 자고자대(自高自大), ②지나친 체면, ③태만, ④파괴욕, ⑤근시안적 사고, ⑥노예근성, ⑦사리사욕 등의 결점을 갖고 있다고 격렬하게 비판했다. 또 1987년 청년 학자인 왕윤생은 <우리 성격의 비극>이라는 저서에서 중국인에게 ①과민성, ②근시성, ③비이성, ④수구(守舊)증, ⑤불합작증, ⑥양지마비(겵知麻痺)증 ⑦의뢰증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1915년 막스웨버는 그의 저서 <유교와 도교>에서 중국인들의 성격으로 ①강인성, ② 근면성, ③ 신중성, ④ 동정심 결여, ⑤ 불성실, ⑥ 의심증 등을 든다. 다양하고 복잡한 중국대륙인의 국민성을 쉽게 이해한다는 것은 실로 어려운 연구과제다.
일본인의 국민성
일본의 경우는 1868년 메이지(明治)유신 이후 일본인에 대한 많은 저서와 논문, 에세이 등이 발표되었다. 그 중 일본인의 국민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지적한 사람은 메이지 시대의 대표적인 국사학자 히가야이치(芳賀矢一)다. 그는 1907년에 발표한 <국민성 10론>에서 ①충군애국, ②조상숭배, 가문존중, ③현세적, 실질적, ④자연애호, ⑤낙천음주, ⑥담백, ⑦섬세기교, ⑧청정결백, ⑨예절자세, ⑩온화, 관용을 들고 있다.
이어 1938년 평론가인 하세가와 요지간(長谷川如是閑)은 일본인들의 장점으로 ①객관적, ②현실적, ③중위적(中位的), ④간결, ⑤겸손, ⑥평범, ⑦상식적이라는 점, 단점으로는 ①불신증, ②단기 변심, ③자극 민감, ④무의식 모방을 들었다. 또 니시무라 신지(西村眞次)는 1940년 <일본인과 그 문화>에서 ①적응성, ②협조성, ③생산성, ④평화성, ⑤도덕성, ⑥ 진취, ⑦타산을 국민성으로 들고 있다. 이 밖에 많은 학자에 의해 다양한 발표가 있지만 모두 대동소이 한 내용들이다.
외국인이 본 일본인 비판서로는 1928년 중국인 재계도(載季陶, 짜이찌타오)가 쓴 <일본론>이있다. 그는 일본이 만세일계(萬世一系, 온 세상이 일본 천황의 한 핏줄이다)라느니, 천양무궁(天壤無窮, 하늘과 땅처럼 영구하다)이라느니 하는 그릇된 세계관을 갖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그는 일본국민성의 장점으로 세계문명의 흡수와 동시에 자기보존의 능력을 갖고 자기발전의 역량을 겸비하고 있다고 하였다. 단점으로는 섬나라 근성을 갖고 구미(歐美) 숭배와 중국 멸시의 경향이 있으며, 도덕의식에서는 평화공존의 습성이 있지만 타산적인 상인근성이 강하다고 하였다. 명치유신 이후 한국, 중국을 멸시한 일본 국민성에 대한 지적은 획기적인 것이라고 일본인도 평가하고 있다.
전쟁 직후 미국의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는 저서 <국화(菊花)와 칼>에서 일본인의 이중성격을 강조하였다. 즉 국화를 사랑하는 심미(審美)주의와 칼과 같은 잔인성을 동시에 가졌다는 것이다.
우리의 반성
이상에서 필자는 같은 한자 문화권에 있는 한·중·일 3국의 국민성에 대해 논했지만 대체적으로는 3국 국민이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 다른 점이 있다면 한국은 반도적인 성격, 중국은 대륙적인 성격, 일본은 섬나라의 성격을 갖고 있어 지역과 환경의 차이에 따른 특수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우리 한국인의 특징을 든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과 자기과시를 일삼는 형식주의, 둘째, 자기편과 당파에 맹종하는 파벌주의, 셋째, 합리적 사고 보다 비합리적인 감정주의, 넷째, 이해와 양보를 모르는 배타주의, 다섯째 공중도덕과 질서를 경시하는 무질서가 그것이다.
바로 이것이 한민족의 결점이며, 이 같은 폐단은 근년에 이르러 더욱 심해지고 있다. 우리는 이점을 깊이 반성하고 극복해야만 선진대열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한국인은 자기 나름의 가치관을 고집하기 때문에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양보를 하지 않으므로 단합이 잘 안되고 있다. 자기주장만을 일방적으로 고집하면 민주사회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이로 말미암아 한국은 근대화를 완성하지 못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는 현실이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선진국에 가까워졌지만 그 이외에 정치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중일 3국 중 중국은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집단성, 일본은 국가와 자기소속 조직에 대한 충성심, 한국은 가족과 가문을 중시하는 혈연중심이 그 특징이다.
우리도 우리 스스로 선진화를 위해 전통적인 후진적 관행과 낡은 수구적 의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자기 변화와 혁신을 위해 분발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우리 한국도 자타가 공인하는 완전한 선진국으로 평가 받게 될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